이 잡글의 모티브이자 요즘 자꾸 읽게 되는 칼럼 - 김대중을 ‘3김’으로 묶지말라

최근 김대중 전 대통령이 열린우리당 지도부의 방문을 받은 자리에서 한 "여러분은 나의 정치적 계승자"라는 덕담 한 마디에 우리당과 민주당의 신경전이 날카로웠다. 우리당이 기쁨에 겨워 몸서리칠 일도 아니고, 민주당이 냉소를 날리며 코방귀를 낄 일도 아닌 듯 싶다. 우리당은 김 전대통령의 애정 어린 충고를 받아 들여 민심을 얻는데 애쓰기 바란다. 민생경제를 추스르고 지역주의에 굴종하지 않는 것이 진정 김대중 전대통령을 계승하는 일이 아닐까 한다.


여하간 이 헤프닝을 계기로 생뚱맞게 김대중 전대통령과 나와의 인연(?)을 생각해봤다. 92년 대선 때 김영삼 후보에게 패한 김대중 후보는 눈물을 흘리며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김영삼의 환호보다 김대중의 침울이 내게는 깊은 인상을 남긴 모양이다. 그러다가 95년 7월 18일 김 전대통령은 정계복귀를 선언한다. 그 후로 내내 야당 분열과 정계은퇴 번복이라는 비난에 시달렸지만 내 생일날 다시 돌아온 그를 나는 내심으로 환영했는지도 모르겠다. 96년 4.11 총선 때 그는 전국구 14번의 배수진을 쳤으나 국민회의는 79석을 얻는데 그쳤다. 그 자신마저 낙선했을 때 나는 왠지 모르게 가슴 한 구석이 허전했다.


중학교 2학년 때 97년 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대중에 대한 지지를 공식적으로 천명했다. 내 생애 최초의 정치적 의사표시였다. 어린 나이였지만 부당하게 욕을 먹는 듯한 김대중이라는 사람에 대한 연민과 당시 나라를 말아먹던 김영삼에 대한 실망이 함께 작용한 결과였다. 내 고향 대구의 정치적 성향이 어떤 것인지 어렴풋이 파악하기 시작했고, 소수파가 될 것을 자처하며 내린 결심이었다. 밤늦게까지 엎치락뒤치락하는 개표방송을 지켜보다 그의 미소를 볼 수 있었다.


국민의 정부는 그 탄생만으로도 대단한 역사적 성과였다. 하지만 욕심만큼 썩 잘 하지는 못한 것 같다. 김대중의 성공만을 막아야겠다며 저주를 퍼붓던 이들을 보란 듯이 이겨내지 못한 점도 많다. 김종필 일당과 손을 잡고서야 겨우 집권할 수밖에 없었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해 아쉽다. 그러나 대놓고 미워하지는 못했다. 그와의 첫 만남이 하필이면 정계은퇴를 선언하는 눈물바다였다 보니 그 잔상이 머릿속을 맴돈 탓이었을까. 아니면 괜히 내가 잘못한 것 같아 그것을 인정하기 싫다는 우스운 자존심 때문이었을까.


그의 퇴임 후 이런저런 불평불만이 쌓여서 김대중 전대통령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음을 솔직하게 고백한다. 그런데 몇몇 사건들을 겪고 나니 김대중이란 인물이 얼마나 거인이었는가를 절감한다. 특히 지난 4.15 총선에서 끝끝내 침묵을 지킨 것이 정말 대단한 일이었음을 이제야 깨달았다. 자신을 향한 삼보일배를 보며 애간장이 타면서도 인고하고 말았던 그 헌걸찬 기백을 뒤늦게나마 경외한다. 그 때 당시 속시원하게 우리당을 지지해주지 않는다며 타박했던 나의 옹졸함과 부박함이 너무 민망할 따름이다.


나아갈 때를 알고 너무 머뭇거리지 않는 것도 능력이지만 물러날 때 깔끔하게 뒤로 가는 것도 참 매력적인 일이다. 요근래 내가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를 알고서도 모른 체하고, 허영심에 들떠 소명감을 들먹거리는 유혹을 마다치 못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느꼈다. 내 손을 떠난 일인데도 내가 나서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착각을 하고, 세월의 무게로 인해 쌓아놓은 것이 바래는 것을 참지 못하기 일쑤였다. 지난 총선 때 김대중 전대통령이 보여줬던 침묵을 본받아야겠다.


나는 내게 주어진 일감에 최선을 다하고서 스스럼없이 잊혀질 수 있기를 바란다. 어떤 성과 앞에서 죄다 내 공덕인 것처럼 우쭐거리지 말고, 쥐꼬리만한 권세에 취해 남을 업신여기지 말고, 인기 관리를 한답시고 자꾸 숨기고 핑계대지 말자는 의미다. 감놔라 배놔라 참견하는 대신 차분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여유를 가지고, 겪었던 일들을 재치 있게 털어놓는 넉살을 품고, 뒷사람들이 잘하는 모습에 아낌없이 격려할 줄 아는 겸허함을 간직하고 싶다.


無爲而無不爲! 억지로 하지 않기에 이루지 못하는 것이 없는 고요함과 치열함을 그려본다. - [憂弱]
Posted by 익구
: